뇌의 혁신으로 창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다

창업인성역량

주체적협업 역량: 협력을 통한 창업 생태계의 발전

장산brain 2025. 1. 13. 03:02

창업은 단독의 노력이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과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창업자는 자신의 역할뿐 아니라 팀과 조직, 더 나아가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주체적책임 및 창업의식 역량은 창업자가 지역 사회와 글로벌 차원에서 책임감을 갖고 협력하며 공생을 실현하는 능력을 강조한다. 그중에서도 주체적협업 역량창업자가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고, 공동체 내에서 강한 유대감을 바탕으로 협업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필요한 핵심 역량이다. 이 역량은 창업자가 창업 생태계 내에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팀의 성과를 극대화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데 필수적이다.

 

주체적협업역량의 정의와 구성 요소

주체적협업역량은 창업자 및 창업기업 구성원도 시공간적으로 사회적 관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지역사회 발전과 사회적 활동에 주인의식으로 협업하는 능력을 말한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관계성
    사회적 공유 가치와 문화적 공동체를 이해하고 협업적 가치를 위한 관계를 지향하는 능력이다. 이는 창업 생태계 내에서 신뢰와 협력을 기반으로 관계를 확장하는 데 필수적이다.
    • 예시: 다양한 배경을 가진 팀원들과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
  2. 유대감
    사회적 연결고리를 통해 공동체적 강한 소속감을 가지는 마음가짐이다. 이를 통해 창업 생태계의 일원으로서 책임을 다하고, 창업 활동에서의 동기와 에너지를 강화한다.
    • 예시: 팀워크를 증진시키기 위해 정기적인 팀 빌딩 활동에 참여하거나, 회사의 비전과 문화를 공유하는 것.

 

주체적협업역량의 중요성

  • 팀워크 증진: 구성원 간 신뢰와 협력을 통해 더 나은 성과를 창출할 수 있다.
  • 조직 문화 강화: 강한 유대감은 구성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조직의 비전과 목표에 몰입하도록 만든다.
  • 사회적 신뢰 구축: 협업을 통해 외부 파트너와의 관계를 강화하며, 창업 생태계 내에서 신뢰를 형성한다.

 

시사점 및 실천 방안

주체적협업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천 방안을 제안한다:

  1. 협력 중심의 관계 구축: 팀원들과 정기적으로 소통하며,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관계를 강화한다.
  2. 공동체적 유대감 형성: 조직 내에서의 정체성을 공유하고, 팀원들과의 연결성을 강화한다.
  3. 사회적 가치 창출 : 창업 과정에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거나 지역 사회와 협력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주체적협업 역량은 창업자가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고, 강한 유대감을 바탕으로 창업 생태계 내에서 가치를 창출하는 데 필수적인 능력이다. 이 역량을 통해 창업자는 개인의 성장을 넘어 팀, 조직, 그리고 지역 사회와 함께 성공을 이룰 수 있다. 창업자는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속 가능한 협력 문화를 조성하여 창업 생태계의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 주체적협업 역량을 바탕으로 창업자는 단순한 비즈니스 성공을 넘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며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 이중환(2024), "뇌교육 기반 창업인성역량 모형과 척도 개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