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의 혁신으로 창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다

뇌과학

회복탄력성의 뇌과학: 실패 후 다시 일어서는 뇌의 힘

장산brain 2025. 8. 7. 16:30

창업자에게 실패는 불가피한 경험이다. 중요한 것은 실패 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회복탄력성(Resilience)다. 이 회복탄력성은 단순한 성격 특성이 아니라, 뇌의 신경 시스템이 변화하고 적응하는 과정이다. 뇌과학은 이 과정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이를 뇌 기반 훈련으로 강화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뇌의 회복탄력성: 신경가소성과 기억 조절 회로의 힘

인간의 회복탄력성은 특히 기억 조절 회로(Memory Control Circuits)와 해마의 신경가소성(Hippocampal Neuroplasticity)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은 이러한 회로들의 유연성과 변화 가능성에 의해 좌우된다.

 

핵심 뇌 영역: 전전두엽, 해마, 그리고 선조체

구조 및 기능적 뇌 영상 연구에 따르면 회복탄력성에는 다음과 같은 영역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중요하게 작용하고, 이 영역들은 감정 조절, 동기화, 학습과 관련된 회로를 형성하며, 회복탄력성의 신경 기반을 구성한다.

  • 전전두엽(Prefrontal Cortex, PFC) : 대뇌 전두엽의 앞부분으로, 고등 인지 기능과 행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
  • 선조체(Striatum) : 대뇌 기저핵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운동 조절, 보상, 학습, 습관 형성 등 다양한 뇌 기능에 관여
  • 해마(Hippocampus) : 뇌의 측두엽에 위치한 뇌 구조물로, 기억과 학습, 특히 장기 기억 형성에 중요한 역할

 

전전두엽의 유연성: 감정 조절과 실패 대응 능력의 핵심

예일대의 연구에 따르면, 회복력 있는 사람일수록 복내측 전전두엽피질(Ventromedial Prefrontal Cortex, vmPFC)의 유연성이 높아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감정 조절이 잘 되고 적응력이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창업자가 실패나 불확실성에 직면했을 때도 차분하게 전략을 재구성하고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는 뇌 구조라는 의미이다.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뇌 훈련 전략

뇌 기반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뇌 훈련 방법이 유효하다:

  •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 기반 훈련: 반복적인 도전, 실패 후 성찰, 지속적 연습을 통해 기억 조절과 회복 관련 시냅스를 강화할 수 있다.
  • 신체 활동과 운동: 유산소 운동은 BDNF(뇌유래신경영양인자), IGF‑1(인슐린유사성장인자-1) 등을 증가시키며, 해마와 전전두엽의 회복과 신경 생성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 
  • 마음챙김 명상 등 심리훈련: 실패의 감정을 객관화하고 PFC 중심의 조절 회로를 강화한다.

 

결론: 실패는 회복탄력성을 단련하는 신호로 활용하라

회복탄력성은 타고나는 능력이 아니라, 뇌의 회로를 훈련하여 강화하고 키워낼 수 있는 기술 체계이다. 특히 창업이라는 도전적인 여정에서 실패를 겪었을 때, 이 훈련을 통해 전전두엽 중심의 회복 회로를 강화하면 빠른 회복과 전략적 전환이 가능하다. 다음 편에서는 "공감과 유대의 뇌회로: 팀워크와 리더십을 만드는 뇌기술"을 다룰 예정이다.

 

참고자료 및 논문

  • Leone, G. (2025). Plasticity of human resilience mechanisms, Science Advances.
  • Nestler, E. J. (2024). Neurobiological basis of stress resilience. 
  • David Amerland (2020). The Neuroscience of Resilience. (링크)
  • Time 기사. Why Some People Handle Stress Better Than Others. (링크)
  • MindLab Neuroscience. Neuroscience Of Mental Toughness And The New Science of Resilience (링크)
  • Wikipedia, Neurobiological effects of physical exercise.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