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cohol-related dementia: an update of the evidence - PMC
Abstract The characteristics of dementia relating to excessive alcohol use have received increased research interest in recent times. In this paper, the neuropathology, nosology, epidemiology, clinical features, and neuropsychology of alcohol-related demen
pmc.ncbi.nlm.nih.gov
Alcohol-related dementia: an update of the evidence
저자 : Nicole J Ridley, Brian Draper, Adrienne Withall
과도한 알코올 사용과 관련된 치매의 특성은 최근 들어 연구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알코올 관련 치매(Alcohol-Related Dementia, ARD)와 알코올 유도 지속성 기억상실 증후군(Wernicke-Korsakoff Syndrome, WKS)의 신경병리, 질병 분류, 역학, 임상적 특징, 신경심리학적 특성을 검토한다.
신경병리학적 및 영상 연구는 과도하고 장기적인 음주가 구조적, 기능적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 손상은 영구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러한 손상이 알코올의 직접적인 독성 효과 때문인지(신경독성 가설), 아니면 티아민(비타민 B1) 결핍의 영향인지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알코올 관련 인지 장애에 대한 연구는 음주 패턴의 정의가 상이하고, 음주와 관련된 생활 방식의 차이 등으로 인해 복잡해지고 있다. 현재의 진단 체계는 알코올 관련 인지 장애의 두 가지 주요 증후군인 ARD와 WKS를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알코올 관련 뇌 손상(alcohol-related brain damage)'이라는 용어가 이들 장애의 이질성을 포괄하는 상위 개념으로 점점 더 사용되고 있다.
어느 수준의 음주가 뇌 손상의 위험을 높이는지, 혹은 낮은 수준의 음주가 오히려 다른 형태의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역학 연구에 따르면, ARD 환자는 다른 형태의 치매보다 더 이른 연령에 발병하고, 남성의 비율이 높으며, 사회적으로 고립된 경우가 많다. ARD의 인지적 특징은 대뇌 피질과 피질하 병리 모두와 관련되어 있으며, 시공간 기능, 기억력, 고차원적(집행 기능) 과제에서 가장 뚜렷한 손상이 나타난다. WKS는 과거에 알려진 것보다 더 이질적인 특성을 가지며, 특징적인 기억 손상 외에도 집행 기능의 손상이 함께 보고되는 경우가 많다.
알코올 관련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금주를 유지할 경우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최소한 부분적인 회복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임상 환경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과 함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권고 사항도 논의된다.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O 알코올과 건강에 관한 세계 현황 보고서 (2018) (1) | 2025.04.08 |
---|---|
알코올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0) | 2025.04.08 |
알코올 관련 뇌 손상의 신경병리학 (2009) (0) | 2025.03.26 |
음악과 뇌 (2020) (0) | 2025.03.26 |
박자에 맞춰 움직이는 능력은 소리에 대한 신경 반응의 일관성과 연관 (2013) (0)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