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와 생물 멸종, 자원 고갈 같은 지구적 문제는 더 이상 환경 전문가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창업자 역시 이 흐름에서 자유롭지 않다. 기업이 성장하는 방식이 지구의 생존과 양립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창업인성역량에서 말하는 ‘공생’은 단순한 친환경 선언을 넘어, 지구공동체의 생존과 보존을 위해 선한 영향력을 실행하려는 창업자의 의지를 뜻한다.
이 글에서는 ‘공생’의 개념을 바탕으로, 실제 사례를 통해 어떻게 창업 실천적 변화를 만들어갈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공생이란 무엇인가?
‘공생’은 지구적창업의식 역량의 한 요소로, 창업 활동을 통해 지구 생태계와 공존하려는 실천적 태도를 의미한다. 이는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수준을 넘어,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기는 의지에 초점을 둔다.
- 지구환경의 생존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감수성
- 기업 운영과 제품 생산의 전 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고려
- 선한 영향력을 실천하고 확산하려는 책임감 있는 선택
창업자의 공생, 왜 중요한가?
공생은 창업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옵션'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창업을 위한 필수 조건이다. 오늘날 소비자, 투자자, 지역사회는 기업이 단순히 좋은 제품을 만드는 것뿐 아니라, 어떻게 만들고 누구와 함께 성장하려 하는지를 함께 본다.
- 지구적 문제는 기업의 무관심을 허용하지 않는다 :기후위기, 자원 고갈 등은 기업 활동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창업자 역시 생태계의 책임 있는 구성원으로 행동해야 한다.
- 소비자의 가치 소비가 기업의 미래를 결정한다 : 친환경, 윤리적 소비를 지향하는 소비자는 늘어나고 있으며, 공생을 실천하는 기업에 더 강한 신뢰와 충성도를 보인다.
- 지속가능경영은 투자와 파트너십의 핵심 평가 요소가 된다 :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는 투자자와 협력기관의 기본 기준이 되었다. 공생 없는 창업은 미래의 자본과 연결되기 어렵다.
- 내부 구성원의 사명감을 강화한다 : 공익적 가치를 공유하는 기업은 조직 구성원들의 자긍심과 몰입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창업자가 공생을 실천하는 방법
(1) 제품의 전 생애 주기를 점검하라
- 생산, 유통, 폐기 단계까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줄일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한다.
- 예시: 플라스틱 포장재 대신 생분해성 포장재 도입
(2) 탄소 배출을 ‘숫자’로 관리하라
- 제품별 탄소 배출량을 추적하고, 내부 기준을 세워 감축 목표를 설정한다.
- 예시: ‘1개 제품 = 8.3kg CO₂’ 식의 구체적 수치 공개
(3) 지속가능성을 브랜드 스토리로 만들라
- 공생 노력을 고객과 팀원 모두가 인식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브랜드의 정체성으로 내재화한다.
- 예시: 홈페이지, SNS, 제품 포장 등에 ‘지속가능성 메시지’ 명시
실제 사례: 에콜로지컬 브랜드 ‘Allbirds’
Allbirds는 뉴질랜드와 미국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 신발 브랜드로, 제품 설계에서 유통까지 전 과정에서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기업 철학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 Allbirds는 단순히 ‘친환경 제품을 판다’는 수준을 넘어서, 소비자에게 ‘지구와 함께하는 선택’을 유도하는 기업 구조 자체를 설계한 대표적 사례이다.
- 신발 소재를 양털, 사탕수수, 유칼립투스 등 지속 가능한 자원으로 대체
- 탄소배출량을 제품별로 공개하고, 자발적으로 탄소중립 인증을 추진
- 전체 공정에서 탄소 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기술적 투자와 혁신 실행
결론: 공생은 선택이 아닌 생존 전략이다
이제 창업자는 지역의 시장을 넘어서 지구의 미래와 대화하는 존재가 되었다. ‘공생’은 단순히 환경보호에 관심이 있다는 선언이 아니다.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성장하려는 실천의지이며, 이는 창업자가 기업을 통해 지구에 남기는 ‘발자국’을 줄이고, 나아가 선한 영향력을 퍼뜨리는 중심에 서겠다는 선택이다. 창업자의 공생 의지는 곧 기업의 지속 가능성 그 자체이며, 세상과 함께 숨 쉬는 경영의 첫걸음이다.
💡 공생은 트렌드가 아니라, 창업자의 생존 방식이다.
참고자료
'창업인성역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업생태계이해 : 캐나다 창업지원 플랫폼 Fundica (1) | 2025.07.04 |
---|---|
창업자의 문화 감수성, 공존에서 시작된다 (0) | 2025.06.14 |
창업자의 공익 참여, 왜 중요한가 (2) | 2025.06.13 |
창업과 책임성, 사회를 잇는 연결고리 (1) | 2025.06.13 |
창업의 지속성, 유대감에서 자란다 (0) | 2025.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