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의 혁신으로 창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다

창업인성역량

창업동기부여: 정보공유가 만드는 조직의 동력

장산brain 2025. 7. 23. 21:46

창업동기부여 역량의 '정보공유'는 창업자 및 창업구성원이 비전, 목표, 전략, 시장·고객 인사이트 등 핵심 정보를 상호 공유하여, 모두가 공통된 이해를 바탕으로 실행에 몰입하도록 만드는 중요한 기반이다. 이는 조직의 방향성을 명확하게 하며, 구성원들의 몰입을 높이고, 조직의 추진력을 강화한다.

 

Y Combinator 보육 스타트업 – 투명한 경영 정보 공유 문화

(1) 실행 방식

  • 월간 재무·핵심 지표·투자 상황 같은 민감한 정보를 전 직원에게 투명하게 공유
  • 재무 흐름과 고객 확보 과정까지 모두 투명하게 공유하며, 구성원의 신뢰 확보

(2) 효과

  • 공감 기반 협업 : 구성원이 ‘왜 이 일을 하는지’와 ‘어떤 숫자가 핵심인지’를 스스로 이해하게 됨
  • 주인의식 형성 : 공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신이 할 행동을 주도적으로 판단
  • 이슈 조기 발견 : 직원들이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개선을 제안하며, 조직의 민첩성과 대응 속도가 크게 향상됨

 

Booking.com – 실험/테스트 결과의 전사 공유

(1) 실행 방식

  • Booking.com은 매일 수백~수천 건의 A/B 테스트를 실행하는 실험 중심의 문화
  • 모든 팀의 설계·결과·코드·분석 보고서 등을 전사 위키에 등록해 공유하는 시스템 구축
  • “HIPPOs(Higher Paid Person’s Opinion)를 배제하고, 데이터 기반 민주적 실험” 문화 확립 

(2) 효과

  • 개방적 실험 문화 : 누구나 자유롭게 실험하고, 기존 데이터를 참고하여 아이디어 개선·확장 가능해 창의적 시도와 협업 장려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문화가 자리잡으면서, 정확성 및 효율 증대
  • 실패 기반 학습 : 실험 실패가 두려움이 아니라 학습의 기회로 인식되어 반복적 실험을 장려

 

Buffer – 정기 조사 및 결과 공유로 신뢰 구축

Superbeing eNPS

(1) 실행 방식

  • Buffer는 분기 혹은 월 단위로 직원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며, 익명으로 응답한 eNPS(Employee Net Promoter Score) 결과를 전사에 공개
  • eNPS 설문을 통해 성별이나 연차별 만족도 차이를 공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부서별 심층 분석 보고서를 작성해 전 직원이 볼 수 있도록 공유
  • 각 부서는 조사 결과를 리뷰한 후, 팀 단위 따로 피드백 회의를 개최하고 개선 과제를 수립

(2) 효과

  • 심리적 안정과 신뢰 증대 : 정기적으로 조사하고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구성원들은 조직이 자신의 감정을 진지하게 반영하고 있다는 신뢰를 가지게 됨
  • 실천 중심의 조직 문화 정착 : 공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실행조치가 이어지고 있어, 구성원이 자신의 목소리가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진다는 믿음을 갖게 됨

 

결론

정보공유는 단순한 데이터 전달을 넘어, 조직의 신뢰 문화와 실행 속도, 학습 능력을 강화하는 전략적 요소이다. 위의 사례에서 보듯, 투명성과 위키 기반 공유는 협업과 성과를 끄는 강력한 동력이 된다. 창업자에게 있어 정보공유 역량은, 팀이 함께 나아갈 방향을 공유하고 공동체적 성장을 실현하는 핵심 열쇠이다.

 

참고 자료

  • Devcycle – How Booking.com A/B Tests like Nobody’s Business (링크)
  • A recap of the Experimentation Conference 2024 at Booking.com (링크)
  • Hracuity – eNPS Scores Explained: Measuring and Boosting Employee Loyalty (링크)
  • Buffer – On a Scale of 1-10: Why Tracking Your Team’s Satisfaction Matters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