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면 속으로: 실패에서 다시 무대로
tvN 드라마 〈스타트업〉(2020)은 젊은 창업가들이 기술력, 투자, 팀워크의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히며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초반부에서 주인공의 삼산텍 팀은 해커톤에 참가하지만, 기술 시연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심사위원들로부터 “시장성과 실행 가능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후에도 팀 인수와 해체 위기, 투자 무산 등 현실적인 리스크를 계속해서 마주한다. 하지만 그들은 포기하지 않고 오히려 실패를 분석하고, 감정을 정리하며 다음 단계를 준비한다.
이 장면들은 창업가가 위기를 만났을 때 필요한 핵심 역량 — ‘실패와 위험’을 피하지 않고, 두려움 대신 학습으로 전환하는 두뇌 회로를 보여준다.
🧠 실패위험감수 역량이란 무엇인가?
‘실패위험감수 역량’은 예상되는 위기가 두려워도 현 상황의 가능성과 위험성의 가치를 인식하여,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학습으로 전환하며 지속적으로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능력이다. 신경과학적으로는 다음 세 가지 뇌 시스템이 핵심이다.
- 편도체(amygdala) – 위험과 공포를 감지하지만, 과활성되면 회피로 이어진다.
- 전측대상피질(ACC) – 불안과 스트레스를 인지하고 감정 균형을 회복시킨다.
- 전전두엽(prefrontal cortex) – 위기 상황에서도 논리적 판단과 계획을 가능하게 한다.
즉, 실패위험감수란 무모한 용기가 아니라, 편도체의 과잉 반응을 ACC와 전전두엽이 조절하는 감정 회복의 뇌 습관이다.

⚙️ 스타트업이 보여준 세 가지 교훈
- 실패를 인정하는 용기
- 삼산텍 팀은 기술적 한계를 숨기지 않고 다시 분석했다.
- 이는 감정적 회피 대신 문제를 ‘데이터’로 보는 인지적 태도이다.
- 리스크를 공개적으로 다루기
- 드라마 후반에서 팀 인수나 투자 실패 등 위기가 공개되며, 구성원들은 갈등을 겪지만 끝내 해체 대신 재조정을 선택한다.
- 위험을 투명하게 드러내는 것은 편도체의 공포 반응을 완화하고, 전전두엽의 계획 기능을 강화한다.
- 다음 시도를 설계하기
- 실패의 경험이 ‘포기’가 아닌 ‘피드백’으로 작용한다.
- 이는 뇌의 보상예측오차(reward prediction error) 를 수정하는 학습 과정이다.
💡 창업가를 위한 실천 루틴
- 리스크 노트 작성
- 시도 전 예상 리스크와 실제 결과를 기록하라.
- 예측과 현실의 차이를 분석하면, 뇌의 불확실성 내성이 높아진다.
- 실패 공유 미팅
- 한 달에 한 번 ‘실패 사례 회의’를 열어 학습 경험으로 전환한다.
- 공개된 실패는 조직의 심리적 안전감을 높인다.
- 감정 리셋 루틴
- 실패 후 감정을 언어화하거나 동료와 나누면, 편도체의 긴장도가 낮아지고 회복 속도가 빨라진다.
- 팀이 정기적으로 감정 상태를 나누면 옥시토신(oxytocin)이 분비되어 신뢰와 협업이 강화된다.
드라마 <스타트업>의 주인공들은 완벽하지 않지만, 실패의 순간마다 감정적 회피 대신 성찰을 선택한다. 그들의 회복력은 두려움을 억누르는 뇌가 아니라 두려움을 인식하고 조절하는 뇌에서 비롯된다. 실패위험감수 역량은 단순히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 아니라, 두려움을 관리하고, 실패를 학습으로 변환하는 뇌의 기술이다. 불안을 조절하고 다시 균형을 찾는 회복의 신경습관이다. 창업의 지속력은 결국 감정의 안정에서 시작된다.
참고자료
- tvN. (2020). 〈스타트업〉. Studio Dragon.
- The Review Geek. Start-Up – Episode 4 Review & Recap.
- Dramabeans. (2020, November 30). Start-Up – Episodes 11–12 Open Thread.
- Schultz, W. (2016). Dopamine reward prediction error coding. Dialogues in Clinical Neuroscience, 18(1), 23–32.
'창업인성역량'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예능 「나 혼자 산다」로 본 긍정두뇌활용 역량 (0) | 2025.11.06 |
|---|---|
|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로 본 창업실패극복 역량 (0) | 2025.10.29 |
| 〈윤성빈의 질주〉로 본 창업기회도전 역량 (0) | 2025.10.22 |
| 영화 「위대한 쇼맨」으로 본 창업동기부여 역량 (0) | 2025.10.21 |
| 예능 「유 퀴즈 온 더 블럭」으로 본 창업구성원공감 역량 (0) | 2025.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