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의 혁신으로 창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다

창업인성역량

융합성: 경계를 허무는 창업자의 두뇌 혁신법

장산brain 2025. 6. 12. 17:03

창업이란 본질적으로 경계를 넘는 행위이다. 기술과 기술, 산업과 산업, 학문과 현장, 심지어 감성과 이성 사이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이 창업자의 본질적인 과제다. 창업두뇌혁신역량의 요소 중 하나인 ‘융합성’ 은 이러한 도전을 실행하는 데 핵심이 되는 두뇌 전략이다.

융합성이란 동종 또는 이질적인 분야에서 발생한 정보나 아이디어를 과감하게 재구성하고 연결하여 기존 한계를 돌파하는 창의적 두뇌 능력이다. 이는 단순한 조합이 아니라, 혁신적 맥락 전환과 문제 재정의를 포함한 고차원적 두뇌 활동이다.

 

창업자에게 융합성이 꼭 필요한 이유는?

오늘날의 창업자는 더 이상 단일 분야의 전문성만으로는 차별성을 만들기 어렵다. 혁신은 점점 더 이종 기술·데이터·사고방식의 결합에서 탄생한다.

  • 창의적 혁신의 출발점이 된다.
    - 완전히 다른 영역의 지식과 기술을 새롭게 엮는 순간, 기존에 없던 제품과 서비스가 탄생한다.
    - 예시: 패션 + 기술 = 웨어러블 디바이스 / 예술 + 인공지능 = 생성형 AI 디자인 서비스
  • 융합은 복잡한 문제에 대한 다층적 해법을 가능하게 한다.
    - 사회문제, 산업 변화, 지속가능성 같은 복합 문제는 한 분야의 시야로는 해결할 수 없다.
    - 융합성은 창업자에게 다양한 관점을 통합할 수 있는 사고 유연성을 제공한다.
  • 융합적 사고는 창업 생태계의 연결성을 확장시킨다
    - 이종 산업 간 파트너십, 융합 기반 플랫폼 모델 구축 등으로 확장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실천 방안: 창업자의 두뇌에 융합성을 각인하는 3가지 전략

(1) 이질적 조합 실험하기

  • 기술, 문제, 대상을 서로 전혀 다른 분야에서 가져와 조합하는 훈련
  • 예시: 농업 문제에 게임 메커니즘 적용하기 (게이미피케이션+식량 문제)

(2) 분야 간 모델 리믹싱

  • 기존의 성공 모델이나 구조를 전혀 다른 분야에 재적용하는 실험
  • 예시: 공유경제 모델을 헬스케어, 교육, 복지 분야에 응용

(3) 다학제적 팀 빌딩

  • 서로 다른 전공, 산업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협업하여 문제 재정의
  • 예시: 디자인+공학+심리학 전공자가 함께 사용자 감성 기반 앱 기획

 

실제 사례 : ‘Oura Ring’ – 헬스케어와 패션, 데이터의 융합

Oura Ring은 핀란드에서 개발된 스마트 반지로, 심박수·수면·체온 등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헬스 디바이스이다. 하지만 이 제품의 혁신은 단순한 기술에 있지 않다. Oura는 다음의 3가지 영역을 융합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했다.

  • 의료기기 수준의 생체 데이터 측정 기술
  • 패션 액세서리로도 손색없는 미니멀한 디자인 감각
  • 사용자 친화적 앱을 통한 데이터 시각화 및 맞춤 피드백

이 융합적 설계 덕분에 Oura는 의료계, 피트니스, 일반 소비자를 모두 아우르는 제품이 되었고, 수면 관리와 건강 트렌드 분야에서 독보적인 브랜드로 자리잡았다.

 

결론: 융합성은 창업자 두뇌의 연결 능력이다

융합성은 단순한 아이디어 조합이 아니다. 이는 분야와 분야, 사람과 사람, 기술과 삶 사이를 잇는 고차원적 설계 능력이다. 창업인성역량은 이와 같은 연결의식과 조합적 사고를 강화하는 인지적 기반을 제공하며, 창업자는 이를 통해 복잡한 세상에 새로운 해석과 질서를 부여할 수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창업자는 수많은 정보와 가능성 앞에 서 있다. 그것을 단순히 나열할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방식으로 엮고 넘어서고 재해석할 것인가. 해답은 당신의 ‘융합적 두뇌’ 안에 있다.

💡 융합성은 창업자가 새로운 가치 질서를 설계하는 창의의 도구다.

 

참고자료

  • 이중환(2024), 뇌교육 기반 창업인성역량 모형과 척도 개발 연구
  • Oura Official Website (링크)
  • Harvard Business Review  – The Discipline of Innovation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