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의 혁신으로 창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다

전체 글 137

기적을 부르는 뇌 (2007)

The Brain That Changes Itself: Stories of Personal Triumph from the Frontiers of Brain Science저자: Norman Doidge 사람의 뇌는 스스로 변화할 수 있는것일까? 그에 관한 설명을 담은『기적을 부르는 뇌』. 수 세기 동안 인간의 뇌는 변하지 않는다는 믿음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이라는 새로운 과학은 이러한 고정관념을 뒤집고 있다. 정신과 의사이자 정신분석학자인 노먼 도이지 박사는 이 혁신적인 과학을 이끄는 과학자들과 신경가소성을 통해 인생이 바뀐 사람들을 만나기 위해 미국 전역을 여행했다.그 여정에서 태어날 때부터 뇌의 절반만 가지고 있었지만 스스로 전체 기능을 수행하도록 뇌를 재구..

자료실 2025.05.15

시도성 : 망설임 대신 행동, 성공은 도전에서 시작된다

“생각만으로 세상이 바뀌지 않는다.” 창업의 세계에서는 아무리 뛰어난 아이디어도 실행하지 않으면 무의미하다. 위대한 성공은 언제나 ‘행동’에서 시작된다. 머릿속에만 떠오른 아이디어는 시장의 기회로 연결되지 않고, 책상 위에만 놓인 계획서는 결코 고객을 만들어내지 못한다. 아무리 혁신적인 아이디어라도 실행에 옮기지 않으면 그저 미완의 가능성일 뿐이다.시도성(試圖性)은 생각에 머무르지 않고, 실패의 두려움을 넘어 직접 행동으로 옮기는 창업인의 적극적인 실행 역량이다. 창업자는 완벽한 준비를 기다리기보다, 미흡하더라도 지금 할 수 있는 것을 과감히 시도할 수 있어야 한다. 작은 시도가 모여 경험이 되고, 반복된 실행이 결국 성공이라는 결과로 이어진다. 시도성, 왜 중요한가?시장은 기다려주지 않는다. 빠르게 움..

창업인성역량 2025.05.12

새로운 세상을 발견하는 힘, 탐험심

“우리는 왜 미지의 세계에 끌릴까?” 창업에서도 이 질문은 그대로 적용된다. 탐험심은 창업자가 시장의 숨겨진 기회를 발견하고, 기존에 없던 가치를 창출하는 원동력이다. 아이폰을 처음 개발한 스티브 잡스, 전기차 시장을 개척한 일론 머스크 모두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탐험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창업의 세계는 불확실성과 위험이 상존하는 ‘미지의 세계’와 같다. 그래서 탐험심은 창업기회도전 역량의 핵심이자 출발점이다. 탐험심, 왜 중요한가?탐험심은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다. 새로운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위험을 감수하면서도 미지의 영역에 도전하는 실천적 태도이다.시장 변화를 빠르게 감지하고 기회를 포착한다.정보를 넓고 깊게 수집하여 숨겨진 트렌드를 발견한다.기존의 한계를 넘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

창업인성역량 2025.05.12

‘내 일’을 넘어서 ‘우리의 일’로: 책임감의 실천

창업의 경쟁력은 '좋은 아이디어'에서만 나오는 것이 아니다. 진짜 경쟁력은 그 아이디어를 지속적으로 실행하는 사람들의 태도에서 나온다. 그 중에서도 ‘책임감’은 창업팀이 신뢰와 몰입을 기반으로 움직이게 하는 핵심 에너지다.‘책임감’은 창업인성역량의 ‘창업공감 및 동기부여 역량 → 창업동기부여 역량’이라는 구조 안에 위치하며, 정보공유와 함께 팀의 실천력을 끌어올리는 실천 지표다. 특히, 창업인성역량에서는 책임감을 단순한 '의무 수행'이 아니라, 자기 인식과 공동체 인식을 바탕으로 한 의식적 행동으로 본다. 책임감이란 무엇인가?책임감은 창업자가 자신의 역할과 결과에 대해 내적 동기에서 비롯된 행동적 책임을 지는 태도이다. 이것은 단순히 맡은 일을 끝내는 것에 머무르지 않는다.왜 이 일을 내가 맡았는가를 ..

창업인성역량 2025.05.07

비전을 나누면 동력이 된다: '정보 공유'의 힘

창업 초기의 팀은 누구보다 빠르게 배우고, 유연하게 움직여야 한다. 하지만 아무리 똑똑한 팀이라도, 서로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공유하지 못한다면 결국 방향을 잃고 만다. 그래서 중요한 것이 바로 ‘정보공유’ 이다.정보공유는 단순히 메모를 남기고, 자료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서 팀 구성원 간의 비전, 목표, 전략, 실행 계획 등을 주도적으로 나누며 공동의 목적을 강화하는 행위다. 이는 뇌교육 기반 창업인성역량 중 ‘창업동기부여 역량’의 핵심 실천 요소로, 팀의 동기를 유지하고 창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동력으로 작용한다. 정보공유란 무엇인가?정보공유는 창업팀이 비전, 목적, 과정, 실행 내용에 대한 정보를 투명하게 나누고, 그 과정에서 구성원 모두가 주체가 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 역량은 단순히 업무 ..

창업인성역량 2025.05.07

WHO 알코올과 건강에 관한 세계 현황 보고서 (2018)

Global status report on alcohol and health 2018저자 : WHO ​세계보건기구(WHO)의 "2018년 알코올과 건강에 관한 세계 현황 보고서"는 WHO 지역 및 세계은행 소득 그룹별로 알코올 소비와 그로 인한 질병 부담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각국이 이러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수행하고 있는 조치들을 설명한다.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제1장: 알코올 소비와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알코올 소비와 SDGs의 건강 관련 목표 간의 연관성을 개괄한다.​제2장: 글로벌 전략, 행동 계획 및 모니터링 프레임워크유해한 알코올 사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글로벌 전략과 행동 계획, 그리고 모니터링 체계를 제시한다.​제3장: 인구의 알코올 소비각국의 알코올 소비..

자료실 2025.04.08

인간의 뇌를 닮은 컴퓨터 칩: 뉴로모픽 기술이란?

인공지능 기술이 날로 발전하면서, 인간의 뇌처럼 학습하고, 기억하고,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쓰는 시스템에 대한 관심도 함께 커지고 있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뉴로모픽 컴퓨팅(Neuromorphic Computing)’이다.뉴로모픽 기술은 전통적인 컴퓨터 방식과는 전혀 다른 접근으로, 뇌의 신경세포(뉴런)와 시냅스를 모방한 하드웨어 시스템을 만들어내는 기술이다. 이 글에서는 인공지능의 효율성과 유연성을 혁신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뉴로모픽 기술의 개념, 작동 방식, 활용 분야,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해 쉽게 풀어보고자 한다. 뉴로모픽 기술이란? ‘뉴로모픽(Neuromorphic)’이라는 말은 ‘신경(Neuro)’과 ‘형태(Morphic)’의 합성어로, 인간의 뇌 구조와..

뇌과학 2025.04.07

알코올 관련 뇌 손상의 신경병리학 (2009)

The neuropathology of alcohol-related brain damage저자 : Clive Harper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뇌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을 초래하여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중요한 건강, 사회, 경제적 영향을 미친다. 특히, 신경학적 또는 간 질환이 없는 사회적 음주자들조차도 특정 뇌 영역의 손상과 인지 기능 장애를 보일 수 있다.비타민 B1(티아민) 결핍이 추가된 환자들(Wernicke-Korsakoff 증후군)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더욱 심각하며, 추가적인 뇌 영역의 손상이 나타난다. 정량적 연구와 신경영상 기술의 발전은 이러한 변화를 문서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지만, 손상의 기저 메커니즘은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다.호주 시드니에 알코올 관련 사례를 대상으로 하는 인간..

자료실 2025.03.26